- Sander M. Abend, M.D.
- unconscious fantasy 의 구성요소?
Stress + 무의식적인 영아의 본능적 갈등 + 경험에 의한 revision
unconscious fantasy는 임상적 관찰과 환자의 갈등 사이에서 causal chain의 역할을 한다.
-> unconscious fantasy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Fantasy의 일차적 목적을 그 순간의 임상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'unconscious' fantasy?
일반적으로 이야기 되는 fantasy 와는 다소 다른 개념임.
스스로도 인식 할 수 없는 환상이다.
어떤 session에 이르러 비등점에 물이 끓어 오르듯이 환자의 unconscious fantasy가 의식으로 솟아오를 때가 있다. 이 무의식적 내용이 의식화 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이 내용을 무의식화 시켰던 힘과 그와 수반된 감정 등을 자세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.
이를 위해서는 환자가 전하는 emotional life에 지속적으로 몰입해야 한다.
cf)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fantasy ≠ unconscious fantasy
ego-adaptive process 중 하나임.
= illusion of wish fulfillment
= reality principle 에 대한 pleasure principle의 승리, 압도
≒ day-dreaming(공상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