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의 진단표는 병원에서의 검사를 대신할 수는 없지만 간략한 체크를 통해 현재의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.
항 목 |
거의 그렇지 않다 |
약간 그렇다 |
꽤 자주 그렇다 |
거의 항상 그렇다 (4점) |
직장에 출근하는 것이 부담스럽거나 두렵다 |
||||
업무에 대해 흥미가 없고, 거의 열정을 느낄 수 없다 |
||||
내 업무가 하찮고, 쓸데없는 것 같아 우울 하다 |
||||
나는 필요한 만큼 유능하지 못한 것 같다 |
||||
항상 시간에 쫓기면서 일한다 |
||||
업무에 대한 책임이 많아 화가 난다 |
||||
내 일이 미래에 대한 전망이 별로 없다고 느낀다 |
||||
내 의사결정 능력이 평상시보다 저하된 것 같다 |
||||
직장에서의 일을 집에까지 가져가서 할 때가 많다 |
||||
업무에 집중하기가 힘들다 |
||||
요즘 나는 우울하다 |
||||
잠을 충분히 잤는데도 쉽게 피곤하다 |
||||
조금만 불편해도 기분이 가라앉고 짜증이 난다 |
||||
별 이유 없이 긴장하거나 불안할 때가 있다 |
||||
신체적, 정신적으로 모두 지쳐있다 |
||||
주위 사람들과 자주 다툰다 |
||||
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다 |
||||
무기력하거나 멍할 때가 많다 |
||||
쉽게 지루해지고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|
||||
커피, 술, 담배를 예전보다 많이 한다 |
· 20점 미만: 직무 스트레스 거의 없으며,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다
· 20~40점: 직무 스트레스가 약간 있으며, 예방적 조치가 필요하다
· 41~50점: 직무 스트레스 위험이 있으며, 대처능력이 필요하다.
· 51~60점: 직무 스트레스가 경보 상황이며, 전문의 상담이 필요하다
· 60~80점: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전문의 상담 등,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관리가 시급하다
- 자료 출처 :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